2009년 5월 17일 일요일
[CLOD] 샤시 조립 시작
메뉴얼 순서대로 샤시부터 조립에 들어간다.
샤시 내부...
붉으스름한 4mm 나일론 너트(Nylon Nut)가 보인다.
기존의 플랜지 너트(Franged Nut)가 주행 중에 2개가 유실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잘 풀리지 않는 나일론 너트를 적용했다.
진동이나 충격이 많이 전달되는 위치이다보니 플랜지 너트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샤시 바깥의 하단부...
6mm Ball Connector가 보인다.
사실 순정품은 황동색이지만 재조립 중 너무 힘을주어 돌려 나사산이 망가지는 바람에 새로 구입하여 전체를 교체한 것이다.
주요 파츠들을 조립하고 조향 서보를 설치한다.
이제 기계식 변속기를 서보와 연결하고 수신기를 연결한다.
사진에 보이는 서보와 수신기 모두는 갤럭시 버기 때 부터 사용된 오래된 Hitec 제품이다.
수신기용 전원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했던 맛이간 니켈수소전지를 임시로 넣어줬다.
이것으로 샤시 조립은 간단하게 끝이났다.
마지막으로 댐퍼를 조립한다.
샤프트에 그리스도 넉넉하게 발라주고, 녹쓴 댐퍼 스프링은 마른 헝겁을 WD40에 적셔서 빡빡 문질렀다.
이제 골치아픈 기어박스 조립이 남아있다.
샤시 내부...
붉으스름한 4mm 나일론 너트(Nylon Nut)가 보인다.
기존의 플랜지 너트(Franged Nut)가 주행 중에 2개가 유실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잘 풀리지 않는 나일론 너트를 적용했다.
진동이나 충격이 많이 전달되는 위치이다보니 플랜지 너트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샤시 바깥의 하단부...
6mm Ball Connector가 보인다.
사실 순정품은 황동색이지만 재조립 중 너무 힘을주어 돌려 나사산이 망가지는 바람에 새로 구입하여 전체를 교체한 것이다.
주요 파츠들을 조립하고 조향 서보를 설치한다.
이제 기계식 변속기를 서보와 연결하고 수신기를 연결한다.
사진에 보이는 서보와 수신기 모두는 갤럭시 버기 때 부터 사용된 오래된 Hitec 제품이다.
수신기용 전원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했던 맛이간 니켈수소전지를 임시로 넣어줬다.
이것으로 샤시 조립은 간단하게 끝이났다.
마지막으로 댐퍼를 조립한다.
샤프트에 그리스도 넉넉하게 발라주고, 녹쓴 댐퍼 스프링은 마른 헝겁을 WD40에 적셔서 빡빡 문질렀다.
이제 골치아픈 기어박스 조립이 남아있다.
[CLOD] 주행을 위한 재정비
대충 유실된 부품만 보강할까도 생각해보았지만 20년 묵은 기름때를 꼭 벗겨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다행스럽게도 인터넷에서 메뉴얼을 어렵지 않게 구해 출력까지 해 놓은터라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 각 파츠들을 잘 구분해서 분해한다면 재조립에 큰 어려움이 없을거란 판단이 섰다.
번거롭지만 완전분해를 결심하고 작업에 들어갔다.
사진으로는 잘 확인되지 않지만 바퀴를 분해하고 육안으로 확인하니 기름때와 먼지, 녹 등이 더 명확하게 보인다.
댐퍼 스프링에 녹이 잔뜩 생겼다.
오랜 사투끝에 샤시에서 두 개의 기어박스를 분리해 내는데 성공했다.
분해 작업을 진행하면서 "어렸을 때 이걸 어떻게 조립했을까"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직접 만들었다는 사실을 동네 친구들이 믿어주지 않아서 어린 마음에 상처를 받았던 기억이 난다.
오늘의 메인이 될 기어박스 분해를 시작한다.
대충 겉만 청소하고 틈새로 그리스만 바르는 수박 겉핧기식 정비를 할 것인가... 아니면 완전분해 후 깨끗히 새척해서 깔끔하게 재조립 할 것인가...
풀 볼베어링(Full Ball Bearing) 작업을 위해서라도 완전분해를 하는 쪽으로 결정했다.
천천히 작업을 하다보니 이틀에 걸쳐 새척까지 마칠 수 있었다.
완전분해가 마무리된 후 플라스틱 파츠는 빨래비누로 깨끗하게 새척하고, 메탈 파츠는 WD40으로 닦아주었다.
실 주행 시간이 길지 않아서인지 기어들은 손상된 부분이 없어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해 보였다.
볼트와 너트, 기타 부품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가격이 저렴한 부품 수납함을 준비했다.
재조립시 부품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해하면서 유실된 부품을 파악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 6mm Ball Connector 1개
- 4mm Flanged Nut 2개
- 5mm E-Ring 1개
- 2x8mm Bolt 3개
- 2mm Nut 3개
- 3x10mm Bolt 1개
- 3mm Nut 1개
새로 구입해야 할 목록도 작성했다.
- 6x12x4mm (1260) Ball Bearing 20개
- 5Ф 고휘도 LED (White) 2개
- Inner Sponge 4개
- 그리스 (기어용, 조인트용)
- 주행용 배터리
- 급속 충전기
- 커넥터, 스위치, 전선 등 기타
필요한 부품들이 모두 구비되면 바로 조립에 들어갈 수 있도록 모든 준비가 끝났다.
다행스럽게도 인터넷에서 메뉴얼을 어렵지 않게 구해 출력까지 해 놓은터라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 각 파츠들을 잘 구분해서 분해한다면 재조립에 큰 어려움이 없을거란 판단이 섰다.
번거롭지만 완전분해를 결심하고 작업에 들어갔다.
사진으로는 잘 확인되지 않지만 바퀴를 분해하고 육안으로 확인하니 기름때와 먼지, 녹 등이 더 명확하게 보인다.
댐퍼 스프링에 녹이 잔뜩 생겼다.
분해 작업을 진행하면서 "어렸을 때 이걸 어떻게 조립했을까"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직접 만들었다는 사실을 동네 친구들이 믿어주지 않아서 어린 마음에 상처를 받았던 기억이 난다.
오늘의 메인이 될 기어박스 분해를 시작한다.
대충 겉만 청소하고 틈새로 그리스만 바르는 수박 겉핧기식 정비를 할 것인가... 아니면 완전분해 후 깨끗히 새척해서 깔끔하게 재조립 할 것인가...
풀 볼베어링(Full Ball Bearing) 작업을 위해서라도 완전분해를 하는 쪽으로 결정했다.
천천히 작업을 하다보니 이틀에 걸쳐 새척까지 마칠 수 있었다.
완전분해가 마무리된 후 플라스틱 파츠는 빨래비누로 깨끗하게 새척하고, 메탈 파츠는 WD40으로 닦아주었다.
실 주행 시간이 길지 않아서인지 기어들은 손상된 부분이 없어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해 보였다.
볼트와 너트, 기타 부품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가격이 저렴한 부품 수납함을 준비했다.
재조립시 부품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해하면서 유실된 부품을 파악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 6mm Ball Connector 1개
- 4mm Flanged Nut 2개
- 5mm E-Ring 1개
- 2x8mm Bolt 3개
- 2mm Nut 3개
- 3x10mm Bolt 1개
- 3mm Nut 1개
새로 구입해야 할 목록도 작성했다.
- 6x12x4mm (1260) Ball Bearing 20개
- 5Ф 고휘도 LED (White) 2개
- Inner Sponge 4개
- 그리스 (기어용, 조인트용)
- 주행용 배터리
- 급속 충전기
- 커넥터, 스위치, 전선 등 기타
필요한 부품들이 모두 구비되면 바로 조립에 들어갈 수 있도록 모든 준비가 끝났다.
2009년 5월 16일 토요일
추억의 RC 몬스터 트럭 CLOD BUSTER(클로드 버스터)
현재는 쉐보래(CHEVROLET)와의 라이센스 만료로 재판된 Super Clod Buster로 알려져 있는 모델과 동일한 차량이다.
초등학교 때 아카데미(ACADEMY)의 갤럭시 버기를 시작으로 록버스터를 거쳐 이녀석에 이르게 되었고,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까지 먼지만 잔뜩 앉은 채 소장 중이다.
사실 사진은 최근것이 아니라 2001년도에 잠시 바디 청소를 하고 기념으로 촬영한 것이다.
세월은 흘러흘러... 쇽 스피링에 녹이 많이 생겼다.
케이블 타이는 당시 조이기만 하고 남는 부분을 잘라내지는 않았나보다.
중학생 때는 니퍼를 몰랐던지 없었던지... 아니면 귀찮아했던지...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사진상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기어박스 주변에도 먼지가 떡이되어 잔뜩 앉아있다.
타이어는 주행이 많지 않았기에 거의 미사용이라고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바디를 벗겨보니... 샤시 내부도 먼지가 가득하다.
사진을 촬영할 당시 10년 넘은 고양이표 알카라인 건전지가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
7.2V 니카드 배터리도 저렇게 커넥터가 결합된 채로 보관되어 있었나보다.
좋은 추억을 많이 남겨준 이녀석을 다시 움직여보고자 드라이버를 손에 쥐니 벌써부터 그 때의 감동이 다시 느껴지는것만 같다.
하지만 다시 달리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이 있다.
없어진 부품 몇 가지와 6셀 배터리, 충전기, 구리스 등등...
요즘은 기계식 변속기 대신 전자식 변속기를 사용하나보다.
이왕 다시 시작하는거 볼베이링 작업도 하고 청소도 할겸 완전분해 후 재조립하기로 한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